백두대간

신의터재~갈령삼거리(5월1일)

금토끼칼 2014. 5. 11. 13:05

오늘은 노동절이다. 집이 전주라 가야하지만 다음날 근무하면 4일 연휴라서 마눌님께 양해를 구하고 백두대간을 이어가기로 한다. 전날 신의터재에 주차하여 잠을 자고, 새벽에 일어나서 구간 진행을 한다. 오늘구간은 약 10시간 정도 소요된다고 하여 좀 일찍 출발한다.

 

저번구간산행에 마쳤던 신의터재를 출발한다.

 

시작 입구에 이런 표지가 있다.

 

입구 들머리 표지가 친절하게 되어있다.

 

이 구간은 이런 표지기가 무수히 많다.

 

현재 진도에서는 계속되는 추모분위기로 오늘도 생환자의 정상생활과, 죽은이들의 명복을 빌며 축복의 사진보다는 추모의 마음으로 길안내에 충실하기로 한다.

 

이 꽃도 슬픔에 겨워있는지...............

 

낮은 야산에 이런표지기는 길안내에 도음이 된다.

 

여기서 급 좌틀하라고 한다.

 

좌측에 누군가 밭을 일구려다 실패했는지 잡초가 무성하고 나무가 드문드문 심어져 있다.

 

좌로 틀어간다

 

무지개산 갈림길이다. 인근에 무지개폭포가 있다고 하는데 이런 낮은산에 폭포라...........

 

무지개산 갈림길이지만 산은 가지 않기로 한다. 선답자 말에 의하면 조망이 별로란다.

 

요기서  잠시 쉬어가는데 이 나무의 껍질이 겹겹이 켜있는게 참 인상적이다. 

 

 

 

 

계속되는 친절한 안내판

 

 

좌측에 블루베리 농장이 있나보다.

 

화려한 표지기 전시장

 

 

 

여기부터 윤지마산 오름이 시작된다.

 

윤지미산에 도착했다. 유래를 네어버 검색해봐도 알려주는 곳이 없다.

 

윤지미산 일대

 

옆에 돌로된 방석이 쉬어가기 좋게 생겼다.

 

윤지미산 표지판이 누워있다.

 

그래서 새로 부착한 윤지미산 표지

 

넘어졌던 윤지미산 표지를 당분간 기대어 둔다.

 

이제 화령재를 향해 간다.

 

낮은 구릉지대라 밭을 많이 본다.

 

여기서 내려가야 하나보다.

 

저기 임도를 따라 약간 올라간다.

 

가다보면 여기서 다시 등로를 올라간다. 주차한 차의주인을 올라가다 만나는데 반가움을 표시하며 출발지를 물어본다. 서로 안산을 기원하며 헤이진다.

 

 

가다가 본 청원상주간 고속도로 청주방향이다.

 

여기서 인삼밭을 본다.

 

 

이제 화령재가 보인다.

 

화령재 날머리에 있는 백두대간 안내판

 

화령재 날머리

 

화령재에 있는 백두대간 표지석

 

화령에 있는 정자 화령정

 

구 화령재표지석

 

 

요기 화령정에서 아침식사를 한다.

 

화령재에 있는 이 입구는 길이 아니다.  도로 좌측으로 저 가야 입구가 있다.

 

아까 그곳에서 출발하면 저 집있는 곳을 본다. 어차피 이곳으로 오게되어있다.

 

여기가 다음구간 입구이다.

 

입구에 있는 개인택시분의 안내

 

여기서 급 우틀하도록 친절하게 안내한다.

 

화서면을 사람들은 화령이라고 부른다. 남진하다가 식사하고 싶으면 참고하세요.

 

가다가 좌측에 있는 화서(화령)면 일대.

 

 

대간길 안내가 친절하여 알바 할 일이 없다.

 

개활지에 있는 표지기 전시장

 

봉황산 중간지점에 있는 산불감시초소에 도착

 

산불감시초소에서 본 지나온 길

 

대궐터산이라고 하며 중간에 극락정사가 있어 사진 한컽

 

좌측으로 내림

 

봉황산에 도착했다.

 

봉황산 표지석이 있으며 여럿이 식사하며 쉴수 있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봉황산 삼각점

 

상주시청에서는 곳곳 산에 이런 자연석을 이용한 표지석을 세웟다. 돌의 출처는? 옮긴 방법은?

 

오늘 추모산행이지만 인증삿 한번 하기로 한다.

 

이제 열심히 비재를 향해 가야 한다. 송이채취하지 말라고 철망도 치고 경고문도 부착했다.

 

 

여기서 정토산님 표지기를 본다. 전주에 있는 분과 색깔과 글체가 같은데 동일인인지 궁금하다.

 

비재를 향한 내림 비랑이다.

 

비재에 도착했다.

 

동물이동통로 공사중이다. 이곳을 통과하여 정면을 치고 가기로 한다.

 

여기서 잠시 쉬어간다. 그러다가 인천에서 온 산꾼 한분을 만난다. 이분은 오늘 피앗재 아래에서 저녁에 민박하고 내일 속리산 구간을 산행한단다. 나보다 젊고 체력이 좋아보여 먼저 출발하도록 한다.

 

가다보면 있는 표지기 전시장

 

커다란 암석이 있다.

 

조망바위가 있지만 일대를 모르기에 걍 통과한다.

 

형제봉과 갈령을 조망해본다.

 

갈령길을 미리 조망해본다.

 

저기가 갈령삼거리

 

좌측이 형제봉

 

내려오다보니 구병산 삼거리를 지난다

 

가다가 이 두더지를 만나 기념촬영을 해 준다.하도 앙탈을 부려 부득이 강제인증 후 놓아준다.

 

길가운데 나무사이 보이는 검은 물체는 너구리이다.

 

갈령을 향한 오름 시작구간

 

이 바위를 좌로 우회한다.

 

 

좌측 급내림 구간

 

이런 편안한 길도 있다. 갈령삼거리에 도착했다.

 

갈령삼거리에 도착

 

아까 동행했던 분을 여기서 만났다. 나를 촬영해준다.

 

갈령삼거리 내림길 방향

 

오늘 너무 늦에서 황급히 갈령으로 내려오다가 본 속리산 문장대 일대.

 

이런 돌고래 머리닮은 바위도 본다.

 

갈령터널 화북부분

 

갈령부분을 미리 조망해본다.

 

다 내려오니 이런 헬기장이 있다.

 

갈령에 도착했다.

 

갈령도로 개통 기념비

 

뭔가를 새기려다 만 돌

 

갈령 표지석을본다.

 

여기 계곡에서 물소리가 들려 얼굴과 손을 씻고 다시오니 한무리 하산객을 만난다. 화북면에 물어보니 버스는 이곳을 지나지 않는단다. 어찌 갈지 걱정하고있는데 하산객들이 미리 주차해놓은 차로 화서(화령)을 거쳐 서울로 가는데 화서까지 태워준단다. 고맙기가 그지없다. 본인들인 이미 백두대간 종주를 했고 오늘 밤재를 거쳐 이곳까지 왔다고 한다.

 

화서에 도착하여 화동을 가는 버스를 물어보니 저녁 6시란다. 할수 없이 택시를 불러 신의터재까지 간다. 요금은 15,000.

 

차를 회수하여 청주 숙소를 향해 간다.